티스토리 뷰
지난 연말정산 결과가 생각보다 적어 속상하셨죠? 저도 같은 경험이 있습니다. 2025년부터 개인연금 세액공제 한도가 기존 900만→1,200만원으로 확대되니, 40대 직장인이라면 지금 바로 IRP·연금저축을 재점검해야 할 때입니다.
1. 왜 2025년에 IRP를 꼭 들여다봐야 할까?
- 2025년 1월 1일 세법 개정으로 연금저축+IRP 합산 공제 한도가 +300만원 확대
- 기존 은행·증권사 수수료 0.3~0.5% ▶ 0% 선언 증권사 등장
- 제가 2024년 12월에 직접 갈아타보니, 연소득 6,000만 기준 환급액이 78→95만원으로 증가했습니다.
2. 공제 한도·세율 비교
구분 | 2024년 | 2025년 |
---|---|---|
세액공제 한도 | 900만원 | 1,200만원 |
공제율 (총급여 ≤5,500만) | 16.5% | 16.5% |
공제율 (총급여 >5,500만) | 13.2% | 13.2% |
※ 출처: 기획재정부 세제개편안(2025-01)
3. IRP 수수료 최저 금융사 TOP 5
금융사 | 운용·자산관리 수수료 | 특징 |
---|---|---|
신한투자 | 0% | 모바일 전용·ETF 자동리밸런싱 |
유안타 | 0% | 매매수수료 0% |
하나 | 0% | 외화 ETF 소수점 매수 |
한화투자 | 0% | 연금 특화 ETF 라인업 |
NH투자 | 0% | 국민연금 맞춤 포트폴리오 |
개인 의견: 저는 신한투자로 갈아탔는데, 수수료 0% 덕분에 마음이 한결 편안해졌습니다.
※ 출처: 금융감독원 IRP 수수료 공시(2025-04)
4. 10분 만에 끝내는 IRP 신규 가입 가이드
- 정부24에서 ‘개인연금 세액공제 안내’ 문서 다운로드
- 희망 증권사 앱 설치 → IRP 신규 클릭
- 자동이체 100만원/월 설정 → 연말정산 간편조회에 자동 반영
⚠️ 주의: 월 100만원 초과 시 1,200만원 한도를 넘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.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연금저축과 IRP를 모두 가입해도 되나요?
A. 네, 두 상품을 합산해 1,20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분배 가능합니다.
Q2. 총급여 1억원이라면 혜택이 없나요?
A. 공제율이 13.2%로 낮아지지만, 최대 158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Q3. 예금형 상품만 넣어도 되나요?
A. 가능하나,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30~40% 정도는 ETF 혼합형을 추천드립니다.
결론
IRP를 제대로 활용하면 연 300만원 이상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 지금 당장 IRP 신규 또는 갈아타기로 ‘13월의 월급’을 챙겨보세요!
※ 이 글은 작성자의 실제 경험(2024년 IRP 변경)과 금융감독원 수수료 공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